본문 바로가기
심리전공생 끄적거림

대인관계가 어려운 이유

by 인생꿀팁연구소 2022. 6. 27.
반응형

 

대인관계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돈 요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자.

 

1. 개인차 때문이다.

 

 사람마다 개성, 가치관, 생각, 행동양식, 생활방식, 욕구 등이 다르기 때문에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어떤 사람은 폭넓은 대인관계를 맺는 것을 원할 수도 있는 반면 어떤 사람은 소수의 사람과 깊은 대인관계를 맺는 것을 원할 수도 있다. 또한 대부분 사람들은 대인관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지는 않을 것이다. 삶에서 대인관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대인관계를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할 것이지만, 대인관계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소극적으로 행동할 것이다. 또한 중요시하는 대인관계의 영역도 개인마다 다를 것이다. 가족관계를 중요시하는 사람들은 다른 영역의 대인관계는 소홀히 하더라도 가족과 함께 대부분 시간을 보내겠지만, 친구관계를 중요시하는 사람들은 이와는 다르게 행동할 것이다.

 

2. 자기중심적 사고 때문이다. 

 

 인간은 아무리 능력이 뛰어나도 혼자서는 모든 일을 처리할 수 없는데, 자기 자신이 주인공이라고 생각하면서 인생을 사는 경우가 많다. 피아제에 의하면, 전조작기에 있는 유아(3~6세)들은 자신의 감정, 생각, 관점 등을 다른 사람들도 자신과 똑같이 갖는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자신이 사탕을 좋아하면 다른 사람들도 모두 사탕을 좋아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청소년(12~20세)들은 '개인적 우화'와 '상상적 청중'을 지니고 있어서 자기중심성이 강하다. '상상적 청중'의 예로는 '다른 사람들이 왠지 자신을 주목하고 있을 것 같은 생각에 늘 행동에 신경을 쓰고 다른 사람들을 과도하게 의식하는 것'을 들 수 있고, '개인적 우화'의 예로는 오토바이 폭주족들이 '나는 다른 사람과는 특별히 다르니까 절대 죽지 않을 거야'라고 생각하며 위험한 폭주를 계속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자기중심성은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인지부조화와 갈등을 겪으면서 극복해 나가게 된다.

 

3. 자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자신에 대해 정확하지 않은 인식과 장점과 단점을 객관적으로 바라보지 않고 타인들과 관계를 맺음으로써 대인관계에서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기 위해서는 남이 나를 보는 것보다 내가 나를 보는 것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고, 자신과 거리를 두고 자신을 보는 자기성찰이 필요하며, 융통성과 한계가 있어야 한다.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면서 자신을 비우게 될 때, 비로소 자유롭고 열린 마음으로 자신과 상대방을 사랑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다.

 

4. 상대방을 신뢰하지 못하는 불신감 때문이다.

 

 상대를 신뢰하지 못한다는 것은 자신을 믿지 않는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을 믿는 사람이 상대도 믿을 수 있다.

 

5. 성장해 가면서 대인관계가 많아지고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수많은 타인들과의 관계는 인간의 삶을 보다 풍부하게 할 수도 있지만, 현대에 올수록 컴퓨터와 휴대전화의 발달된 기능으로 인해 대인관계의 수가 많아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상대방에 대한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고 피상적으로 대인관계를 맺을 가능성이 많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에 저장된 엄청난 수의 연락처를 본다면 보다 나은 대인관계를 위해서는 대인관계의 양적인 측면보다는 대인관계의 질적인 측면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성숙도가 낮기 때문이다.

 

 성숙도가 낮은 행동의 예로는 대인관계에 있어서 정답만 원한다거나, 상대방이 자신을 칭찬하는 것만을 좋아한다거나, 내 안의 못난 부분을 그대로 표현하기 싫어서 겉으로 잘난 척하는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정답을 위해 오류는 항상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특히 대인관계에 있어서 정답만을 원한다면 자신의 길을 갈 수 없다는 점도 알고 있다. 따라서 대인관계에서 오류와 실수가 있었다면 자기를 점검하는 기회로 알고 그냥 넘기는 여유도 갖는 것이 성숙도가 높은 사람일 것이다.

 

7. 타인에 대한 기대가 지나치게 크기 때문이다.

 

 가족관계에서 특히 부모는 자녀에게, 시어머니는 며느리에게, 아내는 남편에 대한 기대가 매우 커서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관계 속에서 서로가 서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면 관계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이다.

 

8. 좁은 우리 의식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의 우리 의식의 대표적인 예로는 학연, 지연, 혈연 등이 있다. 이러한 우리 의식은 인간의 자연적인 심리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같은 대학의 같은 학과를 나왔다는 동문의식, 같은 고향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고향 친구, 같은 직장의 동료는 서로 잘 알고 있기 때문에 편안한 마음으로 원만한 관계를 맺고 사는데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우리 의식이 너무 강한 경우 다른 집단 또는 소속 구성원에 대한 배타의식이나 편견 그리고 공과 사의 분별문제가 개인과 사회에 상당한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9.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나치게 먼 거리에서는 대인관계가 유지되지 않고 너무 가까우면 간섭을 하게 되므로 대인관계가 악화되기도 한다. 따라서 쇼펜하우어의 '고슴도치의 딜레마'로 알려진 우화처럼 서로 너무 가깝지도 너무 멀지도 않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대인관계에서도 필요하다.

 

10. 각자가 같은 사실이나 현상을 달리 지각하기 때문이다.

 

 우리 주변에서 같은 사실에 대해 각자가 달리 지각하는 예는 쉽게 떠올릴 수 있다. 차를 몰고 한적한 도로를 달리던 젊은 청년이 혼자 걸어가는 부인에게 차를 태워주려 할 때 어떤 사람은 그런 행위를 친절한 행위로 해석할지 모르나 다른 사람은 유부녀를 유혹하는 행위로 해석할지도 모른다. 또한 자신이 잘한 점을 이야기하면 상대방은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잘난 척한다고 생각하고, 나쁜 점을 이야기 하면 상대방은 다음에 이것을 악용하기도 한다.

 

11. 부정적인 행동과 태도 때문이다.

 

 자신의 능력이나 외모, 성격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타인을 바라볼 때에도 부정적이고 왜곡된 시각을 갖는 경우가 많다.

 

12. 바람직한 대인관계 관리를 위한 기법의 이해 부족 때문이다.

 

  대인관계가 의도적 노력 없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고 믿는 사람이 있다면 대인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지 않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